SEOUL, May 22, 2025 — Commut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ill face higher subway fares beginning June 28, 2025. Officials from Seoul City, Gyeonggi Province, Incheon City, and the Korea Railroad Corporation (Korail) have jointly announced a fare adjustment that will raise the basic subway fare by 150 Korean won (KRW), from 1,400 KRW to 1,550 KRW.
The fare hike also affects reduced fare groups. The youth fare will rise from 800 KRW to 900 KRW, while the fare for children will increase from 500 KRW to 550 KRW. These changes mark the first fare increase since October 2023 and come after months of discussion among local governments and transit operators.
Why the Increase?
City officials cite a combination of financial pressures and the need for improved infrastructure as the driving forces behind the fare adjustment. The Seoul Metro and other regional transit authorities have been running persistent deficits due to rising maintenance costs, inflation, and increased investment in safety systems.
A spokesperson from Seoul Metro explained,
“This fare adjustment is an inevitable step to maintain service quality, ensure passenger safety, and keep our system sustainable. Even with the increase, Seoul’s public transportation remains affordable compared to other major cities.”
Analysts estimate that the 150 KRW hike could generate approximately 160 billion KRW (around USD 117 million) in additional annual revenue, which will be directed toward upgrading old train cars, modernizing stations, and improving overall service reliability.
Mixed Reactions from the Public
Public sentiment has been divided. While some commuters understand the rationale, others express frustration over rising living costs.
“I get why they’re doing it, but everything is going up—food, rent, and now subway fares too,” said one office worker during a morning commute.
The fare hike also coincides with potential labor unrest. The Seoul Bus Labor Union recently demanded an 8.2% wage increase and hinted at a possible strike. Similarly, operators of local village buses are calling for fare hikes and increased government subsidies, citing their own financial strain.
A New Threshold for Commuters
Once the new fare takes effect, adult commuters in the Seoul area will spend a minimum of 3,100 KRW per day on round-trip subway travel. For those with longer commutes or who transfer between systems, the cost could be even higher. With this, discussions around transportation affordability and accessibility are gaining renewed attention in both political and civic circles.
서울, 2025년 5월 22일 — 서울 및 수도권 주민들은 오는 6월 28일부터 지하철 요금 인상으로 인해 더 높은 교통비를 부담하게 됩니다.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그리고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기본 요금을 1,400원에서 1,550원으로 150원 인상하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인상은 청소년과 어린이 요금에도 적용됩니다. 청소년 요금은 800원에서 900원으로, 어린이 요금은 500원에서 550원으로 오르게 됩니다. 지난 2023년 10월 이후 약 21개월 만의 인상입니다.
왜 요금이 오르는 걸까?
서울시는 이번 요금 인상이 불가피한 결정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서울교통공사 등 수도권 교통 기관들은 계속된 운영 적자와 시설 노후화 문제를 안고 있었고, 승객의 안전을 위한 시스템 개선과 서비스 질 유지를 위해 재원이 필요한 상황이었습니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요금 인상은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입니다. 이번 인상 이후에도 서울의 대중교통은 여전히 세계 주요 도시들에 비해 합리적인 수준입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요금 인상을 통해 연간 약 1,600억 원(약 1억 1,700만 달러)의 추가 수입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노후 전동차 교체, 역사 환경 개선, 시스템 안정화 등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시민들의 반응은 엇갈려
시민들의 반응은 다양한데요, 일부는 공공 서비스 유지를 위한 현실적인 조치라고 받아들이는 반면, 일부는 생계비 부담이 더욱 커질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출근길 한 직장인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해는 하지만, 요즘 물가도 오르고 월세도 비싼데 교통비까지 오르면 솔직히 부담이에요.”
이번 인상 발표는 버스 파업 가능성과도 시기가 겹칩니다. 서울버스노조는 기본급 8.2% 인상을 요구하며 파업을 예고했고, 마을버스 조합도 요금 인상과 보조금 확대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시민들의 교통비, 새로운 기준점 도달
요금 인상 이후, 서울 시민들은 하루 지하철 왕복 요금으로 최소 3,100원을 지불하게 됩니다. 장거리 통근자나 환승을 자주 하는 사람들의 경우 부담은 더 커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교통비와 관련된 형평성 및 접근성 문제가 다시 한번 사회적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뉴스영어, 오늘의 표현 다섯가지!
1. face higher (costs/fees/charges) 더 높은 비용/요금을 부담하게 되다
Commuters will face higher subway fares starting next month.
(승객들은 다음 달부터 더 높은 지하철 요금을 부담하게 될 것이다.)
2. cite A as B A를 B의 이유/근거로 들다
City officials cite infrastructure upgrades as a key reason for the fare increase.
(시 관계자들은 인프라 개선을 요금 인상의 주요 이유로 들었다.)
3. mark the first (change/increase) since… ~이래로 처음 있는 변화/인상이다
The fare hike marks the first increase since October 2023.
(이번 요금 인상은 2023년 10월 이후 처음 있는 것이다.)
4. divided sentiment 엇갈린 여론, 다양한 반응
Public sentiment over the fare hike remains divided.
(요금 인상에 대한 대중의 여론은 엇갈리고 있다.)
5. gain renewed attention 다시 관심을 받다, 재조명되다
Issues of transportation affordability are gaining renewed attention.
(교통비 형평성 문제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